TV의 주사방식
주사방식이란 신호를 입력받아 화상이 만들어지는 수상기에 실제 화면을 뿌려주는 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TV와 모니터는 비월주사
와 순차주사의 두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진다.
1. 비월주사(interlace scan)
1> 비월주사방식은 NTSC-TV에 적용되는 주사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주사선을 홀수선과 짝수선으로 나누어 한번은 홀수선을
표시하고 한번은 짝수선을 표시하여 하나의 화상을 만들어주는 방식이다.
2> 주사 속도가 늦을 시에 화면이 흔들리거나 깜박거리는 플리커(Flicker)현상이 나타나게되는데 비월주사는 이를 없애기 위해 사
용한다.
2. 순차주사(progressive scan)
비월주사방식과 달리 처음부터 홀수선과 짝수선을 나누지 않고, 순차적으로 주사선을 뿌려주어 하나의 화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비월주사방식이 1초에 30프레임의 화상을 뿌려줄 수 있지만 순차주사방식은 1초에 60프레임을 뿌려줄 수 있다.
'통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 (0) | 2011.09.13 |
---|---|
디지털 서비스 유닛(DSU)의 개요 (0) | 2011.09.08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접속) (0) | 2011.09.06 |
시분할 다중화기(TDM) (0) | 2011.09.06 |
변복조기(MODEM)의 분류 (0) | 201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