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복조기(MODEM)의 분류
1. 동기방식
1) 비동기 변복조기 : 주로 저속도(1,200bps) 비동기식 단말기에서 사용
2) 동 기 변복조기 : 중고속도(2,400bps) 동기식 단말기에서 사용
2. 이용 대역폭
1) 음성 이하 대역 변복조기 : 50bps 등의 저속 변복조기에서 사용
2) 음성 대역 변복조기 : 300~3,300Hz의 음성 대역을 이용하여 대부분 9,600bps 이하
3) 광대역 변복조기 : 48khz, 96khz, 240khz 등의 대역폭을 이용한 고속 변복조기
3. 사용가능 거리
1) 선로 구동기(line drver) : 1mile 미만의 거리에서 100bps~1Mbps 속도로 사용
2) 제한 거리 변복조기 : 1~20mile 거리에서 100bps~1Mbps 속도로 사용
3) 장거리 변복조기 : 거리 제한 없이 일반적인 음성급 선로 이용으로 50~16,000bps 속도
4.포트 수
1) 단포트 변복조기
2) 멀티포트 변복조기
5.등화 방식
1) 고정 등화 변복조기
2) 가변 등화 변복조기
6. 속도에 의한 분류
1) 저속도 변복조기 : 300bps까지의 저속도 단말기에서 이용
2) 중속도 변복조기 : 1,200~2,400bps까지의 중속도 단말기에서 이용
3) 고속도 변복조기 : 4,800bps~9,600bps 혹은 16,000bps 등의 고속도 단말기에 이용
7. 변조 방식에 의한 분류
1) 진폭 편이 변조(ASK) 변복조기
2) 주파수 편이 변조(FSK) 변복조기
3) 위상 편이 변조(PSK) 변복조기
4) 진폭 위상 편이 변조(QAM) 변복조기
'통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의 주사방식(비월주사,순차주사) (0) | 2011.09.07 |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접속) (0) | 2011.09.06 |
시분할 다중화기(TDM) (0) | 2011.09.06 |
등화기(Equalizer) (0) | 2011.09.05 |
진행파관 TWT(Travelling Wave Tube) (0) | 2011.09.05 |